본문 바로가기

ROOM

(70)
코딩 테스트 준비하기 _ Python3 1. 비전공자의 코딩 테스트 준비 _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개발자로 커리어 전환을 위한 코딩 테스트 준비를 시작하였습니다. 어느덧 테스트를 10일가량 남기고 급하게 준비하기 시작하였는데요, 아직도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개념 숙지조차 되지 않아서 걱정입니다. 하지만, 시작이 반이라는 마음으로 코딩 테스트 준비를 해보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코딩 테스트...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조사해본 결과 프로그래머스 레벨 2~3 수준의 문제가 4개 혹은 5개 정도 출제된다고 합니다. 레벨 1 수준의 문제들은 기본적인 문법을 이용하면 충분히 풀어볼 수 있는 문제들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레벨 1 수준이 한 개는 나오겠죠? 저의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고리즘 및 자료구조 개념 학습 빠르게 진행하기 레벨 1 ..
코딩 테스트 준비 문제 [로또 관련 문제] _ Python3 1. 문제와 문제 조건 파악하기 로또 관련 문제에 사용되는 코딩 문법은 배열(리스트 등)을 기본으로 합니다. 먼저, 길이 6인 정수 배열을 만들어, 문제 조건에 맞는 함수에 넣었을 때,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문제가 출제됩니다. 여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의 답을 찾아가는 코딩을 해보겠습니다. 문제: 길이가 6인 정수 배열을 입력받아서 당첨결과를 반환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라. 1등 기준은 랜덤으로 생성된 6개의 번호이며, 당첨 결과는 1등부터 6등까지 당첨된 횟수를 리스트로 반환 한다. 조건: - 로또 당첨 결과의 비교는 1등 번호와 입력한 번호의 순서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 함수의 결과는 길이가 7인 리스트로 마지막 숫자의 의미는 1등이 나오기까지 시도한 총횟수이다. 2. 랜덤 함수 _ import..
프로그래밍 입문을 위한 컴파일러의 이해 1. 프로그래밍 입문 추천 언어 _ C 언어와 python 최근 들어 SW 개발자의 취업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관련 비즈니스가 확대되고 있는 탓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그래밍의 입문을 위해서 추천하고자 합니다. 프로그래밍과 더불어 하드웨어와의 관계를 보다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싶다면 C언어를 강력히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C언어의 개발 스토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C언어는 1972년 켐 톤슨과 데니스 리치가 벨연구소에서 개발한 언어로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 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유닉스는 '커널'이라 불리는 프로그램이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사이의 수행을 위한 명령 혹은 메모리 할당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 체제 시스템의 모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C언어는 하드웨..
추상 자료형이란? _ Abstract Data type, ADT 1. 깊이 있게 이해하기 힘든 추상 자료형 컴퓨터를 시작하는 입문자들에게 추상 자료형을 이해하기란 힘든 일이다. 여기에서는 추상 자료형을 간단히 이해하는 시도를 해볼 것이다. 왜 이해하기 힘들까? 하는 의문점이 든다면, 이번 섹션을 쭈욱 보도록 하자. * 다음의 전개 역시 겉핥기식으로 ADT를 이해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는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을 다음과 같이 7가지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OSI 7 계층이라고 부른다. '추상 자료형을 이해하는데 웬 네트워크?'라는 의문점이 떠오를지 모르지만, 컴퓨터는 0과 1로 저장된 메모리를 어떻게 구성해야 의미 있는 정보를 구성하고 이 메모리에 접근하고 다시 전송하는 컴퓨터 장치 간의 수많은 네트워크 상호작..
프로그래밍을 위한 메모리 구조 1. 메모리의 종류? 우리가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그 프로그램은 일련의 지정된 명령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동작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볼 수 있죠. 프로세스가 일단 실행되면, 여러 가지 데이터들의 주소 혹은 정보를 할당시켜야 합니다. 또한, 메모리의 크기를 컴파일하는 순간에 결정해주어야 하죠. 따라서 우리가 저장된다고 생각하는 메모리는 단순한 정보의 덩어리가 아닌, 프로세스의 처리를 위한 정보 또한 담고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메모리에는 정적 메모리(스택 영역, 데이터 영역)와 동적 메모리가(힙 영역) 존재합니다. 이 두 메모리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메모리의 구조를 한 번 자세히 알아봅시다. 2. 메모리의 구조 _ 코드, 스택, 데이터, 힙 영역 우리가 흔히 데이터의..
브레드보드 _ 빵판 사용법 일명 브레드 보드라 불리는 이 빵판은 납땜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회로에서 아주 요긴하게 사용됩니다. 빵판이라 불리는 이유는 빵을 자르는 나무 도마 위에 기판을 올리는 등의 초기 형태로 사용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이 빵판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빵판의 원리 빵판의 구멍에는 내부에 클립이 있고, 클립과 연결된 도선이 있기 때문에 구멍에 도선을 넣으면 회로가 연결되는 것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면 이해하기 편합니다! 2. 빵판의 구성 빵판의 종류에 따라 구멍의 개수가 달라집니다. 보통 180 홀부터 830홀 까지 다양한 종류의 브레드 보드가 존재합니다. 제가 구성한 브래드 보드 모델의 홀 개수는 260개짜리입니다. 가장 먼저 파란색과 빨간색 라인으로 구성된 홀을 봅시다. 이 부분..